최근 경기 침체와 전기요금 인상으로 많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계십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금 제도를 마련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원 대상부터 신청 방법, 필요 서류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리니 꼭 참고하시어 혜택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지원사업 개요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금은 코로나19 장기화와 고물가 상황 속에서 소상공인의 전기요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입니다. 지원금은 최대 20만 원까지 지급되며, 전기요금 감면을 통해 경영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입니다.

지원 대상 조건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개업일 요건 : 2023년 12월 31일 이전 개업
- 영업 상태 : 신청일 기준 폐업 상태가 아닌 사업자
- 매출액 기준 : 0원 초과 ~ 1억 400만 원 이하 (2022년 또는 2023년 기준)
- 전기요금 계약종 : 일반용, 산업용, 농사용, 교육용, 주택용 중 비주거용
- 계약 유형 : 직접계약자 또는 비계약사용자 모두 신청 가능

✅ 지원 여부는 반드시 정부 공고문과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신청 방법
신청은 온라인을 원칙으로 하지만, 디지털 취약계층은 오프라인이나 전화 신청도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 : 전용 사이트 접속 후 정보 입력 및 서류 업로드
- 전화 신청 : 2024년 9월 30일부터 소상공인 전화상담실(☎ 1533-0200) 이용 가능
- 방문 접수 : 전국 77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에서 접수 지원
- 매뉴얼 제공 : PDF 및 영상 매뉴얼 보기에서 단계별 안내 확인 가능

필요 서류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최근 전기요금 고지서 사본
- 신분증 사본
- (비계약사용자일 경우) 임대차 계약서 등 증빙서류

지원금 지급 방식
- 직접계약자 : 한국전력과 계약된 경우, 최초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차감
- 비계약사용자 : 심사 후 신청자 본인 계좌로 입금
- 지급일은 공고문 기준으로 확인해야 하며, 서류 심사 소요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신청 기간 및 유의사항
- 신청 기간 : 2024년 2월 21일(직접계약자), 2024년 3월 4일(비계약사용자)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 주의사항 :
-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조기 마감 가능
- 신청 시 반드시 본인 명의 계좌 등록 필요
- 1인 1개 사업체만 신청 가능
|
구분 |
내용 |
|
지원 금액 |
최대 20만 원 |
|
대상 요건 |
2023년 12월 31일 이전 개업, 매출 1억 400만 원 이하 |
|
전기요금 용도 |
일반용·산업용·농사용·교육용·비주거용 |
|
신청 방식 |
온라인, 전화, 방문 |
|
필요 서류 |
사업자등록증, 전기요금 고지서, 신분증, 임대차 계약서 등 |
|
신청 기간 |
2024년 2월 21일~예산 소진 시 (계약 유형별 상이) |
|
지급 방식 |
고지서 차감(직접계약자), 계좌 입금(비계약사용자) |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금은 단순한 보조금이 아닌, 힘든 시기를 버티고 계신 소상공인분들께 꼭 필요한 숨통 같은 제도입니다. 다만, 조건이 까다롭고 예산이 한정되어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서류를 빠짐없이 준비하고, 기간 내에 꼭 신청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지금 바로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사이트를 확인해보시고 혜택을 챙기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