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를 위한 주거급여 제도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2025년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는 저소득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지원하는 중요한 복지 정책입니다. 특히 임차가구는 월세 지원을, 자가가구는 주택 개·보수비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주거 빈곤 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2025년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지원 대상과 기준
2025년부터 주거급여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47% 이하인 가구로 확대되었습니다. 가구원 수에 따라 월 소득 기준도 다르며, 예를 들어 1인 가구는 약 976,000원 이하, 2인 가구는 약 1,620,000원 이하, 3인 가구는 약 2,087,000원 이하입니다. 참고로 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급여나 의료급여 수급자는 별도의 소득 심사 없이 주거급여가 자동으로 연계됩니다.

이처럼 명확한 소득기준 덕분에 더욱 많은 분들이 2025년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임차가구와 자가가구에 따른 주거급여 지원 내용
임차가구는 임대차 계약서가 있는 세입자를 대상으로 매달 임대료 일부를 정부가 지원합니다. 지원 상한액은 가구 규모와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1인 가구는 서울 기준 약 320,000원, 광역시 기준 약 270,000원, 기타 지역 기준 약 240,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3인 가구는 서울에서 최대 약 420,000원까지 지원됩니다.

반면, 자가가구의 경우 주택 노후화에 따른 개·보수비를 지원받습니다. 경보수(도배, 장판, 창호 교체 등)는 최대 590만 원, 중보수(지붕, 욕실, 주방 개선 등)는 최대 1,095만 원, 대보수(구조 보강 및 전체 리모델링)는 최대 1,601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3년에 1회 신청 가능합니다. 국토교통부 지정 수행기관이 직접 시공을 담당하여 신뢰성을 더했습니다.

2025년 주거급여 임대료 상한액 및 수선비용 인상표
가구원 수 |
1급지(서울) |
2급지(경기·인천) |
3급지(광역·세종·특례시) |
4급지(기타지역) |
1인 |
352,000원 (+11,000원) |
281,000원 (+13,000원) |
228,000원 (+12,000원) |
191,000원 (+13,000원) |
2인 |
395,000원 (+13,000원) |
314,000원 (+14,000원) |
254,000원 (+14,000원) |
215,000원 (+14,000원) |
3인 |
470,000원 (+15,000원) |
375,000원 (+17,000원) |
302,000원 (+15,000원) |
256,000원 (+17,000원) |
4인 |
545,000원 (+18,000원) |
433,000원 (+19,000원) |
351,000원 (+18,000원) |
297,000원 (+19,000원) |
수선 종류 |
2024년 금액 |
2025년 금액 |
경보수 |
4,570,000원 |
5,900,000원 |
중보수 |
8,490,000원 |
10,950,000원 |
대보수 |
12,410,000원 |
16,010,000원 |
이 표에서 보시듯 2025년 주거급여 지원금은 전년 대비 상승해 더 많은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2025년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신청 방법
주거급여 신청은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과 본인 인증 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신청 시에는 임대차 계약서(임차가구), 주택 등기부등본 또는 건축물대장(자가가구), 신분증, 소득증빙 서류 등이 필요하며, 신청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소득과 재산 조사를 진행합니다. 심사 결과는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되며, 매월 20일에서 25일 사이에 급여가 지급됩니다.
2025년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꼭 활용하세요!
2025년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는 단순한 월세 지원을 넘어 주거 안정과 인간다운 삶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함께 지원금액도 올랐기 때문에 더욱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죠. 기초생활수급자이거나 차상위계층에 해당한다면 꼭 신청 절차를 확인하고 빠짐없이 준비해 주거비 걱정 없는 생활을 누려보시길 바랍니다.
더 자세한 정보와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세요. 2025년에도 우리 모두가 안전하고 따뜻한 집에서 생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